오늘 국회에서는 정말 하루 종일 시끄러운 소리가 끊이지 않았네요. 바로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때문입니다. ‘민간인 출신 국방장관’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시작부터 관심이 뜨거웠는데, 아니나 다를까 시작부터 쟁점들이 빵빵 터졌습니다.
3줄 요약
-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22개월 방위병 복무’ 기록이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 안 후보자는 “행정 착오”라고 해명했지만, 병적 기록 공개는 거부하며 논란이 커졌습니다.
- “임기 내 전작권 전환 목표” 발언에 대통령실이 “개인 의견”이라고 선을 긋는 등 파장이 일었습니다.
미스터리? ’14개월 vs 22개월’ 방위 복무 논란
오늘 청문회에서 가장 뜨거웠던 감자는 바로 ‘병역 문제’였습니다. 안 후보자의 공식 기록에는 방위병 복무 기간이 22개월로 되어있는데, 당시 규정은 14개월이었거든요. 무려 8개월이나 차이가 나니 야당에서 집중 공격에 나선 겁니다.
성일종 국방위원장(국민의힘) 등 야당 의원들은 “근무지 이탈이나 영창 같은 기록이 있는 것 아니냐”며 병적 기록 공개를 강하게 요구했습니다. 정말 날 선 질문들이 오갔죠.
안 후보자는 “행정 착오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14개월 복무 후 복학했는데, 누락된 복무 일수를 채우기 위해 방학 때 추가 복무한 것이 합쳐져 22개월로 기록됐다는 해명입니다. 하지만 끝까지 병적 기록 공개는 거부하면서 “뭔가 숨기는 게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임기 내 전작권 전환” 발언, 대통령실까지 ‘발칵’
병역 문제와 함께 안보관 검증도 팽팽했습니다. 특히 논란이 된 건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관련 발언이었어요.
안 후보자가 “이재명 정부 임기 중 전작권 전환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안다”고 답변하자, 청문회장이 술렁였습니다. 안보의 핵심 사안을 너무 쉽게 말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터져 나왔죠.
파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잠시 후 대통령실에서 “시한을 정한 바 없으며, 후보자 개인 의견”이라고 공식적으로 선을 긋는 이례적인 상황까지 벌어졌습니다. 국방부 장관 후보자와 대통령실의 입장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인 셈이니, 앞으로도 이 문제는 계속 논란이 될 것 같네요.
말로만 ‘협치’, 현실은 ‘정면충돌’
결국 안규백 후보자 청문회는 ‘이적죄’ 같은 거친 단어까지 오가는 설전 끝에 여러 차례 파행을 겪었습니다. 후보자의 자질을 검증하는 자리인지, 여야의 힘겨루기 자리인지 헷갈릴 정도였어요.
물론 국민의 안보를 책임질 수장을 뽑는 자리이니만큼 철저한 검증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의혹 제기와 해명, 그리고 정책 비전 제시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오늘은 온종일 대립만 보인 것 같아 솔직히 좀 씁쓸하네요.
과연 안규백 후보자는 이 모든 논란을 뚫고 국방부 장관에 임명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이번 청문회 어떻게 보셨나요?